들로 산으로/산들꽃초
큰괭이밥
꽃밭에서공주할멈
2009. 12. 18. 16:08
과 |
| |||
속 | ||||
국명 | 큰괭이밥 | |||
학명 | Oxalis obtriangulata Maxim. | |||
이명관계 | Oxalis obtriangulata Maxim.,Acetosella obtriangulata (Maxim.) Kuntze,Oxalis japonica var. obtriangulata Makino | |||
분류 | 다년초 | |||
원산지 | 한국 | |||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우수리 지역에 분포한다. | |||
전체크기 | 높이가 5-15cm 정도로 자란다. | |||
잎 | 잎은 뿌리에서 나오는 장상의 3출복엽이며 길이 3-15cm로서 곧게 서는 엽병이 있고 끝에 3개의 소엽이 윤생한다. 소엽은 소엽병이 없으며 도삼각형 절두이고 상단의 중앙부가 약간 파지며 길이 3cm, 나비 4-6c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고 앞뒷면에 복모가 깔려 있다. 정소엽을 따버리면 날개를 펴고 있은 나비같이 보이는 것도 하나의 특색이다. | |||
꽃 | 5-6월에 길이 10-20cm의 화경이 잎다발속에서 나와 그 끝에 1개의 흰꽃이 달리고 바로 밑에 소포가 있다. 꽃받침잎은 긴 타원형으로서 털이 있으며 5개이고 수술대보다 길며 꽃잎도 긴 도란형으로서 5개이고 수술은 10개, 암술은 1개이다. | |||
열매 | 삭과는 원주상 난형으로서 길이 2-3cm정도이며 털이 없고 5실이며 각 실마다 1-2개의 종자가 6-8월에 익어 5조각으로 벌어진다. | |||
뿌리 | 근경의 윗부분에 소포린이 있고 잎은 뿌리에서 나온다. | |||
서식지 | 심산계곡의 숲속. | |||
특징 | 식물체는 신맛이 있고 생으로 먹을 수 있다. | |||
논문 | Melanges biologiques 6: 260 (1868) | |||
참고문헌 | 1) 우리나라식물명감 (박만규, 1949),2) 조선식물명집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3) 한국동식물도감 제18권 식물편(계절식물) (이영노, 1976),4)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5) 한국식물명람 (이춘녕 & 안학수, 196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