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밭에서공주할멈 2009. 12. 18. 13:53

 

 

천남성과
(Araceae)
천남성과에 속하는 9속
천남성속
(Arisaema)
천남성속 9종
국명 천남성 
별명 청사두초, 천남생이, 톱니아물천남성, 천남상, 쳐남상(제주), 치엽동북천남성(강원 정선), 촐남생이
학명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Nakai) Kitag.
이명관계 Arisaema amurense for. serratum (Nakai) Kitag.,Arisaema amurense var. denticulatum (Makino) Engl.
약초명 천남성 天南星
분류 숙근성 다년초로 관화 관실식물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 중국의 만주에 분포한다.▶전국 각지에서 자생한다.
전체크기 높이가 15-30cm이다.
잎은 1개로 5개의 소엽(발육이 불량할 때는 3)으로 난상 피침형 또는 도란상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육수화서로 달린다. 불염포는 통부의 길이 8cm 정도이고 녹색이며 윗부분이 모자처럼 앞으로 꼬부라지고 난상 장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화서의 부속체는 곤봉모양이다.
열매 장과는 붉게 익어 옥수수처럼 달린다.
줄기 줄기는 곧추 서고 겉은 녹색이나 때로 자색 반점이 있다.
뿌리 구경은 편평한 구형이며 지름 2~4cm이고 주위에 작은 구경이 2~3개 달리며 윗부분에서 수염뿌리가 사방으로 퍼지고 구경 위의 인편은 얇은 막질이다.
서식지 전도에 나며 만주, 중국,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특징 둥근잎 천남성의 변종으로 둥근잎천남성의 소엽에 톱니가 있는 것을 말한다.
논문 Lin. fl. manshur. 124 (1939)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영정도의 식생보고 (정태권, 1933)

 

효능

 

      예전 고서에 따르면 천남성은 중풍을 낫게 하고 담을 삭히며 가슴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전해 진 다. 몸에 있는 수분을 말리고 몸 안으로 침입한 풍의 기운을 제거하는 동시에 경련의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능과 지통의 효과도 있다. 응용되는 증상으로는 중풍, 두통, 파상풍, 종기등이 있다. 간에 풍이 침입하여 고통을 겪을 때 양호한 효능을 나타내는 약재이다.

독성정보
유독(有毒): 독성이 강한 약재중 하나인 남성은 복용시 조심하지 않으면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수도 있으므로 환자나 일반인들의 병증에 알맞은 가공방법을 거친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대량을 복용하거나 전문가와 상의없이 임의로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성상
높이 15~30㎝. 덩이줄기는 구형, 지름 3~4㎝, 주위에 작은 덩이줄기가 2~3개 달리며, 윗부분에 수염뿌리가 달려 사방으로 퍼지고, 줄기는 곧게 선다. 꽃은 암수 딴그루로서 5~7월에 핀다. 열매는 장과로서 붉은색으로 익고 옥수수알처럼 달린다. 약재는 약간 납작하고 고르지 않은 구형으로 지름 2~7㎝, 높이 1~3㎝이다. 바깥면은 엷은 황갈색~회갈색이다. 윗부분에는 줄기자국이 있고 아랫부분에는 오목하고 그 주변에 뿌리가 붙었던 자리가 작은 점으로 보인다.
채집시기/산지
가을·겨울에 채취하여 줄기와 가는뿌리 및 껍질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리거나, 혹은 햇볕에 말리되 반건시 유황훈을 해서 백색이 되면 쉽게 건조된다. 또한 명반수에 담가 백색이 되면 거피해서 햇볕에 말리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국각지 고산의 음습지 수림 밑에 자생한다.
가공
남성을 생으로 사용하면 옹종이나 멍울의 치료에 좋으며, 소의 씁개즙을 이용하여 가공한 우담남성의 경우에는 습하고 건조한 남성의 효능이 감소되어 담열로 인한 풍병에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