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로 산으로/산들꽃초

백당나무(자운리)

꽃밭에서공주할멈 2009. 12. 18. 13:28

 

인동과
(Caprifoliaceae)
 
산분꽃나무속
(Viburnum)
국명 백당나무 
별명 개불두화, 까마귀밥나무, 민백당나무, 접시꽃나무, 청백당나무
학명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Rehder) Hara
이명관계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 (Rehder) HaraViburnum lobatum Lam.Viburnum opulus subsp. calvescens (Rehder) Sugim.Viburnum opulus var. pubinerve MakinoViburnum opulus var. sargenti (Koehne) TakedaViburnum pubinerve Blume ex Miq.Viburnum pubinum for. calvescens (Rehder) NakaiViburnum pubinum for. intermedium NakaiViburnum sargenti KoehneViburnum sargenti for. calvescens (Rehder) RehderViburnum sargenti var. clavescens RehderViburnum sargenti for. glabra Kom.Viburnum sargenti for. intermdium (Nakai) HaraViburnum sargenti var. intermedium (Nakai) Kitag.
약초명 계수조 鷄樹條
분류 낙엽활엽관목
원산지 한국
분포 태백산 일원 및 전국 산야의 계곡과 산록의 습한 지역에 자생한다.
전체크기 높이 3m 내외
잎은 대생하며 끝이 3개로 갈라지고 양쪽 2개의 열편이 밖으로 벌어지지만 윗부분의 잎은 갈라지지 않는 것도 있으며 점첨두 원저이고 길이 5~10cm로서 톱니가 약간 있으며 뒷면에 털이 있고 엽병은 길이 2.0-3.5㎝로서 끝에 2개의 밀선(蜜腺)이 있으며 밑에 2개의 탁엽(托葉)이 있다.
화서는 짧은 가지 끝에 달리고 꽃은 5~6월에 피며 화경은 길이 2-6㎝로서 주변에 중성화가 있고 잔털이 있는 것도 있다. 중성화관(中性花冠)은 지름 3㎝로서 백색이며 크기가 다른 5개의 열편으로 갈라지고 유성화관(有性花冠)은 지름 5-6㎝로서 백색이며 5개의 열편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난형 둔두(鈍頭)이다. 화서 가장자리에는 중성화, 안쪽에는 양성화가 달린다. 수술은 5개이며 길이 3mm로서 화관보다 길고 꽃밥은 자주색이다.
열매 핵과는 지름 8-10㎜로서 둥글며 9월에 적색으로 익고 겨울까지 달려 있으나 악취가 난다.
줄기 높이가 3m에 달하고 많은 줄기를 내어 덤불을 이룬다. 수피는 회갈색이며 어린 가지에는 잔털이 있다.
뿌리 천근성이다.
서식지 계곡과 산허리의 습기 있는 지역에서 군락을 이루어 자란다. 직사광선이 강하게 내리 쬐는 곳보다는 적당하게 그늘이 지는 곳이 좋다. 습생식물로서 내음성이 강하고 건조에는 약하다.
특징 꽃과 열매의 관상가치는 높으나 열매에서 냄새가 심하게 나기 때문에 정원수로 식재하기에는 좋지 않다.
논문 Sp. pl. 268 (1753)
참고문헌 1)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1980),2) 조선삼림식물도설 (정태현, 1942),3)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